“‘저평가’일까, ‘위험’일까? 롯데케미칼의 현재 가치 진단”
주식 시장에는 늘 ‘보석’처럼 숨은 기업이 존재합니다. 겉보기엔 투박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전략적 변화와 구조적 반전을 준비 중인 기업들. 롯데케미칼이 딱 그런 케이스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롯데케미칼’ 하면 여전히 전통적인 석유화학 회사로만 알고 있지만, 지금 이 기업은 탈바꿈 중입니다.
롯데케미칼, 단순한 화학회사가 아니다
과거의 롯데케미칼은 에틸렌, 프로필렌 등 범용 석유화학 제품 중심의 사업 구조로 움직여 왔습니다. 경기 민감 업종의 대표 주자였죠. 하지만 이제는 전혀 다른 색깔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수소’와 ‘친환경 소재’가 있습니다.
‘2030 수소 로드맵’을 보면,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실제 투자 계획과 구체적인 이행 로드맵이 병행됩니다. 수소탱크 전문 자회사인 롯데알미늄과 협력하고 있으며, 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까지 일관된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은 어땠나?
2023년은 힘겨운 한 해였습니다. 원재료 가격의 급등과 중국 수요 부진, 고금리 영향으로 인해 롯데케미칼은 연간 영업이익이 70% 이상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들어서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 제품의 반등, 효율적인 재고 관리, 설비 가동률 회복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특히 2024년 1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턴어라운드 기대감’을 키웠습니다. 이는 구조적 회복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지금 매수해도 될까?
롯데케미칼의 주가는 여전히 역사적 저점 수준을 맴돌고 있으며, PBR 기준 0.4배는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싸다는 이유만으로 접근하기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글로벌 화학 업황이 여전히 불안정하며, 중국발 수요 회복은 더딘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 수익률이 4%대를 웃도는 수준이고, 내년부터 수소·친환경 소재 부문의 수익 반영이 가시화될 경우, 지금의 가격은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체크해야 할 세 가지 포인트
- 중국 경기 회복의 타이밍: 중국이 본격적으로 부양책을 가동할 경우, 석유화학 수요 반등은 롯데케미칼의 실적 회복을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 수소 관련 매출 확대 여부: 현재 수소 사업은 매출 비중이 크지 않지만, 이익률이 높고 시장의 관심을 받는 테마입니다.
- 중장기 배당 전략: 롯데그룹 계열사로서 재무 안정성이 높고, 주주환원정책이 기대됩니다.
싸다고 다 좋은 주식은 아니지만, 지금의 롯데케미칼은 다르다
주가 흐름은 ‘선행지표’입니다. 롯데케미칼은 구조조정 이후, 시장이 다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신호’들을 내고 있습니다. 수소라는 테마, 실적 개선의 흐름, 그리고 배당 안정성까지. 복합적으로 보면 지금은 ‘현명한 매수 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
“시장은 항상 선반영한다. 움직이기 전 준비된 자만이 수익을 챙긴다.”
최근댓글